LATEST ARTICLES

핀테크와 블록체인이 만났을때

  핀테크란 전통적 금융서비스에 모바일 기반 기술이 더해져 새롭고 혁신적인 금융서비스로 재탄생시키는 것을 뜻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간편송금서비스에서 금융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는 TOSS를 그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들 수 있겠다. 실제로 기존의 금융서비스는...

블록체인, 부동산 거래에 혁신을 일으키다

 분산원장 원리를 기술적으로 구현하여 서로 신뢰하지 못하는 각각의 당사자가 중개인 없이 직접 P2P 거래를 가능케 하는 블록체인 기술. 이 한 문장의 설명을 통해 유추해 볼 수 있듯이, 블록체인 기술은...

dApp을 위한 Web3 디자인 프레임워크

기존 월드와이드웹 인터넷에서와 달리, 블록체인에서는 경제적 가치가 집중되어있는 팻 프로토콜(fat protocol) 등장이 가능해 졌다(참조: Fat Protocols_Joel Monegro). 이는 블록체인 기반 프로토콜의 공유 데이터 층에 다양한 Dapp들이 들어와 네트워크 생태계를...

dApp은 왜 대중에게 외면 받고 있는가

최근 몇 년간 블록체인 생태계가 급성장함에 따라, 이더리움 및 EOS 등을 필두로한 블록체인 플랫폼이 특히 빠른 속도로 기술적 발전을 이뤄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분산화를 그 핵심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술이...

Security Token Platform의 선발주자, “POLYMATH(폴리매스)”

본 글은 특정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대한 투기 조장을 목적으로 쓰여진 것이 아님을 밝힙니다. 본 글에 들어가기에 앞서 STO(security token offering)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시는 분께는 다음 글을 참조하시기를 권장합니다. STO(Security...

2019년에 블록체인이 마주할 법적 쟁점들

블록체인에 대한 법적 규제가 화두로 점점 달아오르고 있다. 2019년 새해에는 규제에 관한 기준이나 요점이 구체화되고 더 다양한 논의들이 오고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를 선두로 각 정부기관들이 규제의 칼날을 갈고 있던...

2019년, 블록체인은 어디로 향할것인가

빠르게 흘러가버린 지난 2018년은, 블록체인의 발전과 저변확대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성장통을 겪은 한 해였다. 하루가 다르게 치솟던 가상화폐 가격은 한 순간 무너져내렸고, 많은 사기 피해자들이 속출했으며 이러한 부분들은 특히 언론을...

오션프로토콜을 통해 보는 암호경제 2편

오션프로토콜은 탈중앙화된 데이터 거래를 위한 프로토콜이다. 오션프로토콜은 기존 중앙화된 데이터 시장의 중개인(데이터를 저장하고 전달하는)의 역할을 오션 네트워크의 개별 참가자들에게 분산시킴으로써 보다 투명하고 검증된 거래를 보장하고자 한다. 이는 참가자들이 스스로...

오션프로토콜을 통해 보는 암호경제 1편

블록체인의 핵심인 탈중앙화란 네트워크 참가자들에 의해 권한이 분산되고 합의에 의해 의사결정이 이뤄지며, 궁극적으로 네트워크가 하나의 중앙기관이 아닌 개별 주체들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서로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는 독립적인 개별...

암표 문제를 해결하는 티켓팅 플랫폼 ‘GUTS(굿츠)’

* 본 글은 다양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목적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따라서 특정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를 조장하는 의도로 작성된 글이 아님을 미리 안내드립니다. Contents Contributor: 최유리 PD   GUTS(굿츠) 이번 아티클에서는 암시장 티켓...

STO(Security Token Offering) 생태계 들여다보기

2017년 한 해를 뒤흔들었던 ICO 열풍은 얼마 안가 식어버렸고, 이러한 현상은 무엇보다 세계 각 국이 ICO형식의 자금 조달 방법을 기존의 법적 규제를 벗어난 불법 행위로 규정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였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하드포크하는 비트코인, 왜 그럴까?

지난 달 블록체인 생태계를 들썩이게 만들었던 ‘비트코인 캐시’ 하드포크 분쟁이 마무리되는 분위기다. 11월에 예정된 하드포크를 앞두고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끝내 서로 의견을 좁히지 못한 채 각자의 노선을 선택하게 되었다. 크레이그...

개인용 컴퓨터 유휴 연산 자원을 위한 에어비앤비, ‘Golem(골렘)’

본 글은 특정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대한 투기 조장을 목적으로 쓴 글이 아니며, 기술기반 프로젝트를 다룬 만큼 기술관련 용어가 자주 출몰함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Contents Contributor : 김서진 Golem(골렘) 골렘은 세계 곳곳의 유휴 컴퓨팅...

블록체인, 스마트시티에 가치를 더하다 (DSBC2018)

본 글은 데일리블록체인/데일리인텔리전스 주관 'DSBC2018 (데일리 스마트시티&블록체인 컨퍼런스)' 에서의 세션 발표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Contents Contributor : 최범규 PD/Analyst 4차 산업혁명. ICT 의 등장과 IoT-Cloud-BigData-Mobile 과 같은 그 핵심 기술의...

블록체인 상용화의 첫걸음, BaaS (Blockchain as a Service)

분산 원장 이론에서 탄생한 블록체인 기술의 등장과 함께, 사람들은 이를 기존 산업군에 적용시켜 어떻게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실제로 블록체인이 가지고 있는 속성은 굉장히 광범위한...

토크노미아 ‘건강한 토큰 개발 및 운영전략’ 세미나 현장을 다녀오다.

지난 주 신라호텔에서는 체인파트너스의 토큰 개발 전문 자문팀 <토크노미아>가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서울시가 주최한 블록체인 이벤트 ABF(Asia Blockchain & Fintech) in Seoul 2018’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블록체인 투자는 크립토 펀드(Crypto fund)로 흐르는가

크립토 펀드 조성이 증가하고 있다니? 근래 들어 암호화폐 시장 상황이 좋지 않다. 그럼에도 ‘새로운 크립토 펀드를 조성했다’는 소식은 하루가 멀다하고 들려오고 있다. 수개월 간 뜨겁게 가열되었던 ICO붐을 지나, 이제는...

급변하는 블록체인 투자 생태계: ICO는 어떻게 진화할 것인가

2017년, 블록체인 업계에서 새로운 자금 조달 방식으로 떠오른 ICO의 등장은 그야말로 파격 그자체였다. Tezos, Filecoin, Telegram, EOS 등의 굵직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ICO 시장을 견인하였으며 이로 인한 모금액은 연일 최고치를...

우리는 시큐리티 토큰(Security token)을 받아들여야 하는가?

“If it moves, tax it. If it keeps moving, regulate it. And if it stops moving, subsidize it.” President Ronald Regan, 1986 이는 미국 40대 대통령인 레이건 대통령이 ‘정부의 경제에...

블록체인이 가져다 줄 변화 : Data Market Place (데이터 거래 시장)

<블록체인 혁명>의 공동저자인 돈 탭스콧은 인터넷 시대와 블록체인이 등장하고 난 후의 시대를 다음과 같이 비교했다. 인터넷은 정보의 이동에 관해서 장벽을 없앴다면, 블록체인은 가치와 관련된 커뮤니케이션 및 거래에 대한 장벽을...